아담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 핵심원리
『기브 앤 테이크(Give and Take)』는 조직심리학자 아담 그랜트(Adam Grant)가 인간관계와 성공의 상관관계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베스트셀러입니다. 그는 성공을 단순한 경쟁의 결과가 아닌, ‘주는 사람(Giver)’의 태도에서 비롯된 결과로 정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담 그랜트가 제시한 기브 앤 테이크의 핵심 원리와, 현대 사회에서 이 개념이 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세 가지 인간 유형: 기버, 테이커, 매처
아담 그랜트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람들을 기버(Giver), 테이커(Taker), 매처(Matcher)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습니다. 기버(Giver): 타인에게 먼저 도움을 주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하는 사람 테이커(Taker):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타인의 자원을 이용하려는 사람 매처(Matcher): 주고받음의 균형을 중시하며, ‘공평한 거래’를 선호하는 사람 그랜트의 연구 결과는 의외였습니다. 사회에서 가장 성공하는 사람과 가장 실패하는 사람, 둘 다 기버(Giver)였습니다. 성공한 기버는 전략적 사고를 바탕으로 주되, 자신이 소모되지 않도록 건강한 경계(boundary)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실패한 기버는 모든 부탁에 ‘예스’를 외치며 자신의 자원을 과도하게 소모했습니다. 즉, ‘주는 사람’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기보호적 이타심(Self-Protective Generosity)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는 사람’이 성공하는 이유: 신뢰의 네트워크 효과
아담 그랜트는 사회적 성공을 ‘네트워크 자본(Social Capital)’의 관점에서 설명했습니다. 기버는 단기적으로는 손해를 보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신뢰와 협력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장 큰 성과를 냅니다. 기버의 핵심 행동 패턴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무조건적인 호의가 아닌, 전략적 기부 – 도움을 줄 때 상대의 성장 가능성과 진정성을 고려한다. 2. 약한 연결(Weak Tie)을 활용한 네트워킹 – 가까운 관계보다 오히려 느슨한 관계에서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 3. 상호 호혜의 선순환 구조 형성 – 받은 도움을 다른 사람에게 돌려주는 ‘페이잇 포워드(pay it forward)’ 방식으로 신뢰를 확산시킨다. 이러한 행동이 조직 전체에 확산되면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이 높아지고, 구성원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됩니다. 구글, 넷플릭스, 애드워즈 팀의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문화가 높은 성과와 혁신으로 이어진다는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즉, 주는 리더십은 장기적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기브 앤 테이크를 실천하는 전략적 방법
아담 그랜트는 “모든 관계에서 이타적인 태도를 유지하되, 스스로를 소진하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5분의 호의(Five-Minute Favor)’를 실천하라. 큰 도움을 주려 하지 말고, 짧은 시간 내에 상대에게 의미 있는 도움을 주는 작은 선행을 반복하라. 이는 관계의 신뢰를 쌓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둘째, 자신의 ‘기브 포인트’를 설정하라. 기버가 가장 많이 실패하는 이유는 ‘모두를 만족시키려는 태도’ 때문이다. 자신이 줄 수 있는 한계와 자원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하면, 지속 가능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기버 중심의 조직문화를 조성하라. 리더는 개인의 이타적 행동을 ‘성과’로 인정해야 한다. 즉, 타인을 돕는 행동이 보상받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 간의 신뢰 자본이 쌓이고, 자연스럽게 협력과 혁신이 강화된다. 결국 기브 앤 테이크의 철학은 ‘주는 것이 곧 전략이다’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전한다. 이타심은 단순한 도덕적 선택이 아니라, 장기적인 성공을 이끄는 가장 실용적인 방식이다.
아담 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는 인간관계와 성과를 바라보는 관점을 완전히 바꾼 책입니다. 그는 “진정한 성공은 타인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것에서 온다”고 말합니다. 이 철학을 개인의 커리어와 조직 운영에 적용한다면, 신뢰와 협력이 중심이 되는 건강한 성장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결국 세상은 ‘가장 똑똑한 사람’이 아니라, 가장 많이 주는 사람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